해당 글은 평소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헷갈렸던 개념들을 총 정리한 글입니다.
✅ 네트워크
네트워크는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장비 등이 물리적 연결(예: 케이블)이나 무선 연결(예: Wi-Fi)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스템이다. 네트워크 내의 여러 장치는 노드(node)로 불리며, 이들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한다.
▶ 소규모 네트워크
소규모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로, 제한된 수의 장치가 연결된다. 이런 네트워크는 관리가 간단하고 설정이 비교적 쉬워서, 보통 몇 대의 컴퓨터, 스마트폰, 프린터 등의 장치로 구성된다.
▶ 대규모 네트워크
대규모 네트워크는 더 많은 장치와 사용자들이 연결된 네트워크이다. 기업의 본사와 여러 지사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나 대학교의 캠퍼스 네트워크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대규모 네트워크는 다양한 통신 장비(라우터, 스위치, 방화벽 등)와 여러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해 높은 보안성과 성능을 제공한다.
✅ 네트워크 분류
▶ 크기에 따른 분류
- WAN(Wide Area Network): 광대역 네트워크
-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
- PAN(Personal Area Network): 개인 영역 네트워크
🔽 참고: LAN과 WAN
네트워크 접속 범위에 따라 크게 두 가지인 LAN과 WAN으로 나눌 수 있다.
- LAN(Local Area Network): 건물 내나 특정 지역 등 좁은 범위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로, 두 대 이상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으면 LAN으로 간주된다.
- WAN(Wide Area Network):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 구축된 네트워크로, 여러 개의 LAN을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확장한다. WAN은 ISP의 서비스를 통해 LAN을 연결한다.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개인이나 기업이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대표적인 예로 KT, U+, SKT 등이 있다.
▶ 연결 형태에 따른 분류
네트워크는 연결 목적과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설계되며, 이를 토폴로지(Topology)라고 한다.
- 성형 (Star Topology): 중앙에 있는 하나의 장치(허브 또는 스위치)를 중심으로 여러 장치가 연결된 형태이다. 중앙 장치가 고장 나면 전체 네트워크가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관리가 용이하다.
- 망형 (Mesh Topology): 모든 장치가 서로 직접 연결된 형태로, 높은 신뢰성과 데이터 전송 경로 다양성을 제공한다. 고장에 강하지만 구축 비용이 높다.
- 버스형 (Bus Topology): 모든 장치가 하나의 중앙 케이블에 연결된 형태이다. 설치가 간단하고 비용이 적지만, 중앙 케이블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준다.
- 트리형 (Tree Topology): 성형과 버스형의 혼합으로, 계층 구조를 가지며 확장이 쉽다.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 링형 (Ring Topology): 모든 장치가 원형으로 연결된 형태로, 각 장치가 두 개의 인접 장치와 연결된다. 데이터가 한 방향으로 흐르며, 어느 한 장치가 고장 나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혼합형 (Hybrid Topology): 두 개 이상의 토폴로지를 결합한 형태로,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균형 있게 활용할 수 있다.
✅ 네트워크 통신 방식
▶ 유니캐스트 (Unicast)
한 개의 송신자가 한 개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 예: 웹 서버가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웹 페이지를 제공할 때 사용된다.
▶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한 개의 송신자가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 예: 네트워크 내에서 장치를 발견하거나 초기화할 때 사용된다.
▶ 멀티캐스트 (Multicast)
한 개의 송신자가 특정 그룹의 수신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멀티캐스트는 네트워크 리소스를 절약하면서도 다수의 수신자에게 동일한 데이터를 전달할 때 유용하다.
- 예: 인터넷 방송이나 비디오 스트리밍에 사용된다.
▶ 애니캐스트 (Anycast)
한 개의 송신자가 여러 수신자 중 가장 가까운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 예: 인터넷에서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분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 데이터 전송 방식
▶ 회선 교환 방식 (Circuit Switching)
통신을 위해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전용 회선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통신이 이루어지는 동안 지속적으로 대역폭이 할당된다.
- 예: 전통적인 전화 통신에서 사용된다.
▶ 패킷 교환 방식 (Packet Switching)
데이터를 작은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이다.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며, 최종 목적지에서 재조합된다.
- 예: 인터넷을 포함한 현대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 용어 정리
▶ 호스트 (Host)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나 장치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에서 각 장치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며, 이를 통해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 클라이언트 (Client)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의 응답을 받는 역할을 하는 장치나 소프트웨어이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는 웹 서버에 요청을 보내 웹 페이지를 받아오는 클라이언트이다.
▶ 서버 (Server)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제공하는 컴퓨터나 소프트웨어이다.
▶ 이더넷 (Ethernet)
이더넷은 LAN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선 통신 기술이다. 빠른 속도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 장치 간의 호환성을 보장한다. 이더넷은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 참고 자료
'Programming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DHCP (0) | 2024.08.05 |
---|---|
[Network] 프로토콜 스택 (0) | 2024.08.05 |
[Network] TCP, UDP (0) | 2024.07.28 |
[Network] HTTP/1.1, HTTP/2.0, HTTP/3.0 (0) | 2024.07.28 |
[Network] 소켓, 웹소켓, 포트 (0) | 2024.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