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글은 VSFe 깃허브 레포를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아래 출처에 표기)
✅ 멀티플렉싱과 디멀티플렉싱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멀티플렉싱(Multiplexing)
멀티플렉싱: 여러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하나의 물리적 통신 채널을 통해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네트워크에서 이 과정은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 예시
- 웹 브라우저, 이메일 클라이언트, 파일 전송 프로그램 등 여러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작동하며 각각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이 데이터들이 모두 하나의 네트워크 연결을 공유한다.
▶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디멀티플렉싱: 멀티플렉싱된 데이터를 수신 측에서 다시 개별 데이터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과정이다. 수신된 데이터는 Transport 계층에서 포트 번호를 사용해 각 데이터가 어느 애플리케이션으로 가야 하는지 결정된다.
🔽 예시
- 웹 브라우저에서 오는 데이터는 포트 80 또는 443을 사용하고, 이메일 클라이언트에서 오는 데이터는 포트 25나 587을 사용하여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올바르게 전달된다.
✅ 디멀티플렉싱의 과정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데이터 수신: 데이터 패킷이 수신된다. 이 데이터는 TCP/UDP 패킷으로, 전송 계층에서 처리된다.
- 헤더 분석: 수신된 패킷의 헤더를 분석하여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 IP 주소, 포트 번호 등을 확인한다.
- 포트 번호 매칭: 패킷의 목적지 포트 번호를 바탕으로 운영체제 내에서 해당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한다. 이 포트 번호에 따라 각 패킷이 어느 애플리케이션에 속하는지를 식별한다.
- 데이터 전달: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운영체제는 포트 번호를 기준으로 데이터 패킷을 올바른 애플리케이션으로 분리하여 보낸다.
- 애플리케이션 처리: 애플리케이션은 자신에게 전달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한다.
📍 문제 출처
Tech-Interview / 03-NETWORK.md
📍 참고 자료
'Programming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XSS, CSRF (1) | 2024.08.27 |
---|---|
[Network]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0) | 2024.08.26 |
[Network] 로드밸런서 (0) | 2024.08.26 |
[Network] 라우팅, 포워딩 (0) | 2024.08.25 |
[Network] Stateless, Connectionless (0) | 2024.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