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Stateless, Connectionless
·
Programming/Network
해당 글은 VSFe 깃허브 레포를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아래 출처에 표기) ✅ Stateless와 Connectionless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Stateless (무상태)🔽 개념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형태이다.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모든 요청이 서로 독립적이고, 이전 요청의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Stateful: Stateless의 반대말로,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이전 상태를 보존한다는 의미이다.🔽 한계클라이언트 측에서 상태를 유지해야 하거나, 상태 정보를 매 요청 시 서버를 전달해야 할 상황에서는 Stateful로 설계를 해야 하는데, Stateless가 기본값인 HTTP에서는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예: 로그인, 팝업을 하루동안 보지 않기 등)🔽 ..
[Network] SOP, CORS
·
Programming/Network
해당 글은 VSFe 깃허브 레포를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아래 출처에 표기) ✅ 출처출처(Origin): 웹 페이지의 프로토콜, 호스트, 포트를 결합한 것이다. ▶ 출처의 구성 요소프로토콜(Protocol): 웹 페이지와 자원 간 통신 방법호스트(Host): 웹 사이트의 주소포트(Port): 웹 서버가 요청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포트 번호위 세 가지 요소가 동일하면 동일 출처라고 한다. ▶ 예시http://example.com:81프로토콜: http호스트: example.com포트: 81  ✅ SOP 정책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SOP 정책SOP (Same-Origin Policy, 동일 출처 정책): 웹 보안 정책으로, 동일한 출처에서만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제한한다. 이 정책은 웹 페이지가 ..
[Network] DNS
·
Programming/Network
해당 글은 VSFe 깃허브 레포를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아래 출처에 표기) ✅ DNS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DNS(Domain Name System):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이다. IP 주소는 네트워크에서 장비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한 주소로, 복잡한 숫자와 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DNS는 사용자들이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복잡한 IP 주소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IP 주소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여기를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 DNS 구성 요소도메인 네임 스페이스(Domain Name Space)정의: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는 인터넷 상의 모든 도메인 이름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한 계층적 이름 공간이다.설명: 도메인 이름은 계층적으로 구성되며, 각 ..
[Network] www.github.com을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
Programming/Network
해당 글은 VSFe 깃허브 레포를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아래 출처에 표기) ✅ www.github.com을 브라우저에 입력하고 엔터를 쳤을 때, 네트워크 상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최대한 자세하게 설명해 주세요.사용자 입력: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www.github.com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웹 페이지 URL 요청: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입력한 URL을 분석한다.DNS 조회: 브라우저는 www.github.com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얻기 위해 DNS 서버에 도메인 이름을 전송한다.브라우저 캐시 확인: 브라우저는 로컬 캐시에 저장된 DNS 정보를 확인한다.OS 캐시 확인: 브라우저에 캐시 정보가 없으면, 운영체제(OS)의 DNS 캐시를 확인한다.라우터 캐시 확인: OS에 캐시 정보가 없으면,..
[Network] 4-Way Handshake
·
Programming/Network
해당 글은 VSFe 깃허브 레포를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아래 출처에 표기) ✅ 4-Way Handshake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3-Way Handshake가 TCP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이었다면, 4-Way Handshake는 TCP 연결을 종료하는 과정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연결을 정상적으로 종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FIN 플래그를 사용한다.3-Way Handshake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여기를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 플래그 정보FLAG기능설명ACK응답 확인Acknowledgement패킷을 받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Acknowledgement Number 필드가 유효한지 나타낸다.FIN연결 해제Finish세션 연결을 종료시킬 때 사용되며, 더 이상 전송할 데이터가 없음을 ..
[Network] 3-way Handshake
·
Programming/Network
해당 글은 VSFe 깃허브 레포를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아래 출처에 표기) ✅ 3-Way Handshake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3-Way Handshake는 TCP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으로, 데이터 전송 전에 양측의 준비 상태를 확인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세션을 수립하는 과정이다.TCP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여기를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 플래그 정보FLAG기능설명SYN연결 설정Synchronize Sequence NumberSequence Number를 랜덤으로 설정하여 세션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며, 초기에 Sequence Number를 전송한다.ACK응답 확인Acknowledgement패킷을 받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Acknowledgement Number 필드가 유효한지 나타낸다. ▶ 포..
[Network] OSI 7계층
·
Programming/Network
해당 글은 VSFe 깃허브 레포를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아래 출처에 표기) ✅ OSI 7계층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OSI 7계층 모델은 교육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이론적 모델이다.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은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하기 위한 모델로, 네트워크 통신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눈다. 7. Application(응용) 계층개념: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응용 프로그램과 직접 상호작용하는 계층특징: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와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응용 프로그램은 Application 계층의 일부가 아니다.)최종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유일한 계층이다.데이터 단위(PDU)..
[JPA] JPQL 중급 문법 - 객체지향 쿼리 언어 JPQL (2)
·
Programming/JPA
해당 글은 김영한 님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을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 경로 표현식JPQL에서는 점(.)을 사용하여 객체의 값에 접근할 수 있다. 이처럼 점(.)을 이용해 객체 그래프를 탐색하는 것을 경로 표현식이라고 한다.select m.username //상태 필드from Member m join m.team t //단일 값 연관 필드 join m.orders o //컬렉션 값 연관 필드where t.name = '팀A'🔽 경로 표현식 종류상태필드(state field): 단순히 값을 저장하기 위한 필드 (예: m.username)연관필드(association field): 연관관계를 위한 필드단일 값 연관 필드: 객체 간의 단일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
soeun2537
'Programming'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