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스프링 빈(Spring Bean), Spring Core 어노테이션
·
Programming/Spring
우아한테크코스 레벨 2에서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이 글은 IoC 컨테이너와 의존성 주입(DI)에 대한 기본 이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관련 내용은 여기에 정리해 두었으니,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들어가며이전 글에서 IoC 컨테이너와 의존성 주입(DI)에 대해 정리했다. 이번에는 그 내용을 바탕으로 스프링 빈(Spring Bean)에 대해 정리하고, 스프링 빈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Spring Core 어노테이션들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스프링 빈(Spring Bean)이란스프링 빈(Spring Bean)은 스프링 IoC 컨테이너가 생성하고 관리하는 객체를 의미한다. 이 객체들은 컨테이너에 의해 생명 주기가 관리되며, 의존성 주입(DI)을 통해 서로..
[Spring] IoC 컨테이너, 의존성 주입(DI)
·
Programming/Spring
우아한테크코스 레벨 2에서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 들어가며이번 미션을 하며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언제, 왜 사용하는지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나 자신을 보며 의존성 주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걸 느꼈다. 이에 관련 개념들을 다시 정리해보기로 했다. 의존성 주입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IoC 컨테이너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이는 스프링 빈 개념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먼저 IoC 컨테이너와 의존성 주입에 대해 정리하고, 다음 글에서 스프링 빈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 IoC 컨테이너란IoC 컨테이너는 객체의 생성, 조립(의존성 주입), 생명주기 관리 등을 개발자 대신 수행해 준다. ▶ IoC란IoC(Inversion of Contr..
[Spring] Spring MVC 어노테이션
·
Programming/Spring
우아한테크코스 레벨 2에서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 들어가며레벨 2에 들어가면서 Spring에 대해 깊이 있게 학습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졌다. 이전에도 서버를 직접 배포하고 운영해 본 경험은 있었지만, 정작 어노테이션의 역할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대답하지 못했다. 주어진 코드를 이해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기만 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Spring MVC의 핵심 어노테이션들과 요청 흐름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 Annotated ControllersSpring MVC는 어노테이션 기반의 프로그래밍 모델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요청 매핑, 요청 데이터 처리, 예외 처리 등을 어노테이션을 통해 간결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이러한 방식에서는 @Controller 또..
soeun2537
'Spring' 태그의 글 목록